엑소브레인엑소브레인

본 연구실 연구과제

[세부 2] 지식베이스 구축/추론

연구 목표    대용량 Triple Knowledge를 위한 Large Scale 추론 기술 개발

  • 온톨로지 추론
  • 규칙 추론
  • 시간 추론
  • 공간 추론
  • 불확실성
  • Non-monotonic 추론

OverView 엑소브레인(Exobrain)

개요

  • - 사용자와 의사소통을 하고 스마트기기 간 자율협업을 통한 지식공유 및 지능진화가 가능한 엑소브레인 SW 기술 개발
  • - 4개 세부과제의 연구결과를 통합하여 개발 목표 달성

  • 과제1 (ETRI)지능진화형 WiseQA 플랫폼 기술 개발
  • 과제2 ((주)솔트룩스)자가학습형 지식베이스 구축 및 추론 기술 개발
  • 과제3 (KAIST, 포항공대)인간모사형 자가학습 지능 원천 기술 개발
  • 과제4 (ETRI) 자율지능형 지식/기기 협업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 - 자율지능형 지식/기기 협업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 - 1단계(4년) 총 예산 및 연간 참여인력 : 428억원(정부 320억원, 민간 108억원), 연간 366명 참여

개발 내용

  • 1단계 (4년 : '13.5 ~ '17.4)일반지식 대상 분석형 엑소브레인 SW 기반기술 개발
  • 2단계 (3년 : '17.5 ~ '20.4)전문지식 대상 협업추론형 엑소브레인 SW 응용기술 개발
  • 3단계 (3년 : '20.5 ~ '23.4)글로벌 전문지식 대상 문제해결형 엑소브레인 SW 상용기술 개발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高위험, 高비용, 高난이도 국가 혁신형 지능처리 SW 원천기술 확보를 통해 국가 SW산업 미래 경쟁력 확보
  • 산업적 측면지능형 서비스 및 지식처리 신산업을 창출하고, 다양한 산업 영역 스마트화 견인 및 활용
  • 사회적 측면전문가 문제해결 및 의사결정 지원 고품질 지식서비스 제공으로 삶의 질 향상


연구개발 필요성

지능 진화형 SW 기술은 미래 창조 경제 창출을 위한 국가 주도형 전략 기술로 높은 시장 성장과 고용 창출이 기대되는 차세대 성장 동력임




연구목표

인간처럼 스스로 학습하고 사고하여 새로운 지식을 축적하고, 자연어 질의응답을 통해 전문분야 지식을 제공하는 지능진화형 sw 플랫폼 기술 개발
* 전문직종(경영, 법률, 특허, 의료 등)에 취업 가능 인공지능 초고도화 기술 확보




세부과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