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인지프레임워크

모바일 플랫폼 기반 계획 및 학습 인지 모델 프레임워크 기술 개발

과제 개요

  • 사업명모바일 플랫폼 기반 계획 학습인지 모델 프레임 워크 기술 개발
  • 주관기관숭실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영택)
  • 사업기간총 연구기간 : 2010년 3월 1일 ~ 2015년 2월 29일 (60개월)
  • 총예산130.9억원(정부 97억원, 민간 33.9억원)
  • 참여인원총 참여 인원 111명/444.31 m/y
  • 공동 참여기관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 경북대, (주)솔트룩스, mds 테크놀로지(주)
  • 참여 대학경희대, 경기대, 한국외대, 동국대, 서울시립대

개방형 모바일 플랫폼에 적용이 가능한 지능형 인지 모델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기 위해서 인공지능 핵심 기술인 확률기반 지식표현, 모바일 기계학습, 및 실시간 추론 기술을 개발


  • - 지능형 모바일 서비스가 불확실한 실생활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확률 기반으로 학습하고 추론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용 인공지능 기술
  • - 다중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기계학습 기반의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 기술

연구 목적

스마트폰/스마트 패드 기반
지능형 Personal Assistant
원천 기술 개발

모바일 Virtual Personal Assistant 구축을위한 기술 개발 및 상용화
모바일 사용자의 Daily Life 센싱 및 학습 기술
사용자 모델(Physical, Logical, Social)자동학습
사용자 모델 기반 추론 및 계획 원천 기술 개발
학습 기술 기반의 Personalized 소셜 매거진 개발



모바일 지능형 서비스 구조



모바일 지능형 서비스 프레임워크



파급효과

모바일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핵심 기술로 적용될 것이며 국산 모바일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촉진하여 국내외 시장 점유율을 높여갈 수 있는 토대를 제공

  • - 경제적 효과 : 2020년까지 12,000억원 예상
  • - 직접적 효과 : 지능형 모바일 앱 제작비의 40% 절감